경기도

제173회 수원새빛포럼 강사는 김난도 서울대 소비자학과 명예교수

제173회 수원새빛포럼 강사는 김난도 서울대 소비자학과 명예교수 (수원시 제공) [금요저널] 김난도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명예교수가 12월 4일 오후 4시 시청 대강당에서 열리는 제173회 수원새빛포럼 강사로 나선다.김난도 교수는 ‘미리보는 트렌드 2026’을 주제로 강연한다.2025년 한 해의 트렌드를 되짚어 보며 사회와 소비의 변화를 해석하고, 앞으로 다가올 2026년의 새로운 트렌드를 이야기한다.또 인공지능 시대에 주목해야 할 새로운 흐름과 2026년 핵심 트렌드 10개의 영문 앞 글자를 모은 약어 ‘HORSE POWER’를 설명할 예정이다.김난도 교수는 ‘트렌드 코리아’시리즈와 ‘아프니까 청춘이다’의 저자다.트렌드 코리아를 통해 ‘가심비’, ‘뉴트로’등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알기 쉽게 소개해왔다.강연과 집필, 방송 출연 등을 하며 사회·문화 변화를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전달하며 대중과 만나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수원새빛포럼에 참여하길 원하는 시민은 별도 신청 없이 포럼 당일 수원시청 대강당을 찾으면 된다.수원새빛포럼은 사회 각 분야 저명한 명사를 초청해 깊이 있는 통찰과 시대적 흐름을 공유하는 고품격 강연 프로그램이다.수원시는 수원새빛포럼을 시민과 함께 성장하는 지식 공유 플랫폼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수원특례시, ‘2025 기초지방정부 우수정책 경진대회’복지분야 우수상 수상

수원특례시, ‘2025 기초지방정부 우수정책 경진대회’복지분야 우수상 수상 (수원시 제공) [금요저널] 수원특례시가 대한민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가 주최한 ‘2025 기초지방정부 우수정책 경진대회’에서 복지분야 우수상을 수상했다.수상식은 26일 보령머드테마파크에서 열렸다.이번 경진대회는 민선 8기 동안 추진된 우수정책을 선정하는 대회다.지난 8월 전국 83개 기초지방정부에서 총 137건의 정책을 응모했다.수원시는 마을공동체가 중심이 돼 돌봄이 필요한 이웃을 발굴하고 필요한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돌봄사업 ‘수원새빛돌봄’의 성과를 인정받았다.2023년 7월 시작한 수원새빛돌봄은 올해 지원을 확대해 운영하고 있다.△기본형 서비스 제공 △주민제안형 서비스 △시민참여형 서비스 △식사지원 건강 특화식 제공등 다양한 계층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 등 생활 속 돌봄서비스들로 구성됐다.수원시 관계자는 “수원새빛돌봄은 마을공동체가 중심이 되어 시민의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돌봄을 구현한 대표 정책”이라며 “누구나 일상 속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지역 돌봄 체계를 지속해서 강화하겠다”고 말했다.수원새빛돌봄 사업은 지난해 2024 전국 기초자치단체장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경진대회 ‘최우수상’, 2024 지방자치 콘텐츠 대상 여성시니어 부문‘대상’을 수상하며 사업 운영 성과를 인정받은 바 있다.

수원도시재단, ‘2025년 마을리빙랩·우리동네 자치계획 성과공유회’개최

수원도시재단, ‘2025년 마을리빙랩·우리동네 자치계획 성과공유회’개최 (수원시 제공) [금요저널] 수원도시재단은 26일 수원빛누리아트홀에서 ‘2025년 마을리빙랩 및 우리동네 자치계획 성과공유회’를 열었다.행사에는 현근택 수원시 제2부시장을 비롯해 주민자치회 관계자, 협력 대학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이날 성과공유회에서 마을리빙랩 우수 활동 8개 동에 대한 시상식을 진행했다.△대상은 송죽동 △최우수상은 평동, 지동, 광교2동 △우수상은 정자1동, 세류1동, 우만1동, 매탄3동이 받았다.또 자치계획 수립 과정에 참여한 11개 협력 대학 학생들에게 표창을 수여했다.성과 발표 영상에는 ‘수원이면 가능하지’를 핵심 메시지로 삼아 44개 동 주민자치회의 연간 활동과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노력한 주민들의 노고를 격려하는 내용 등이 담겼다.또 아주대학교·성균관대학교·연세대학교·목포대학교 등 총 11개 대학, 수원도시재단, 수원시정연구원, 수원시 마을자치과가 참여해 동별 특성을 반영해 세운 3~5년 단위 중·장기 발전계획 ‘우리동네 자치계획’을 전시했다.이 밖에도 주민자치회장단으로 구성된 ‘새빛 보이스’공연, 44개 동별 자치계획 발전 구상도 전시, 마을리빙랩 활동 전시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도 운영됐다.현근택 수원시 제2부시장은 “주민이 직접 참여해 지역의 변화를 만들어가는 자치 기반 문화를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며 “주민이 즐기고 함께 만드는 마을을 구현하지 위해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수원도시재단 관계자는 “주민이 일상에서 변화를 만드는 자치 기반 문화가 계속 확산되길 바란다”며 “주민이 즐기고 만드는 마을을 실현하기 위해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수원시 축만제 큰기러기 폐사체서 고병원성 AI 확진

수원시 축만제 큰기러기 폐사체서 고병원성 AI 확진 (수원시 제공) [금요저널] 수원시 팔달구 축만제에서 발견된 큰기러기 폐사체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확진됐다.수원시는 축만제 축만교부터 수질정화시설까지 산책로 출입을 통제하고 초동 방역을 실시하는 한편 예찰 활동을 강화했다.수원시는 축만제에서 발견한 큰기러기 폐사체에서 고병원성 AI가 최종 확진됐다고 27일 밝혔다.해당 폐사체는 지난 21일 축만제에서 주민이 발견해 신고한 것으로, 수원시는 즉시 수거 후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 AI 검사를 의뢰해 26일 결과를 통보받았다.이어 두 번째 큰기러기 폐사체를 발견해 검사를 의뢰한 상태다.고병원성 AI가 확진됨에 따라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경기도본부는 지난 24일부터 검출지 주변에 초동 방역을 실시했다.수원시는 축만교부터 수질정화시설 구간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또 검출지 반경 10㎞에서 야생조수류 예찰 활동도 강화한다.광교저수지, 일월저수지, 만석거, 황구지천, 축만제, 원천저수지, 신대저수지 등 7개 철새도래지를 대상으로 주 5회 이상의 예찰을 실시한다.수원시 관계자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출입 통제 조치에 적극적으로 협조해달라”며 “야생 조류와 직접 접촉하지 말고 안전거리를 유지할 것”을 당부했다.

More News

이전
다음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