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 문화 산책

서양화 한혜경 작가, 좋은 의미 담긴 모란꽃의 향기 "아름다움이 머무는 시간" 개인전

  [한혜경 작가]                             활짝 핀 절정의 모습을 그린 모란의 아름다움은 단순한 미적 효과로 끝나지 않고 꽃이 주는 긍정적 의미까지 예술로 풀어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작품으로 2025년 9월 15일(월) ~ 9월 27일(토)까지 남양주 리멤버1910 이석영 미디어홀에서 "아름다움이 머무는 시간" 타이틀로 개인전을 진행 중에 있다. [포스터] 모란은 옛 부터 부귀영화, 번영, 행복, 평화 등의 좋은 의미가 담겨있어 우리 전통 미술 민화 또는 문인화에 많이 등장하는 소재의 꽃으로 작가는 섬세하고 깊은 터치감이 느껴지는 유화 작품을 가지고 기쁨의 뜻을 더욱 부각시켜 인상적이다. 만개한 모란의 형상은 보는 사람의 감정에 따라 웃는 모습일 수 있고, 수즙은 사람의 표정처럼 점잖아 보이기도 한다. [아름다움이 머무는 시간展1] 어렸을 적 집 마당에 핀 모란꽃 군락의 아름다웠던 행복한 풍경 기억이 시간이 흐르면서 아련하게 떠오르는 향수로 남아 자연스럽게 작품의 주요 소재가 되었다. 화려함 보다 절제미가 느껴지고 은은하게 꽃의 매력이 다가와 지루하지 않는 모란은 애착을 가지고 이미지로 남겼으며, 모란의 특징을 살리기 위해 여러 번 반복해서 색을 쌓아 올리듯 제작하여 생동감이 있다. [아름다움이 머무는 시간展2] 모란꽃의 개화 시간은 매우 짧다. 그래서 더욱 애틋하고 고귀하여 아름다운 최고의 시간을 오래도록 붙잡고 싶은 마음을 작품으로 만들어 간직하고 싶었다. 그림을 바라보는 시간에 따라 얻어지는 행복감을 오래 느끼고 싶은 심성의 표현 작업이 모란 작가로 알려졌으며, 창작의 시간까지 즐기는 독창적 예술세계를 펼치고 있다. [healing time - 1] "아름다움이 머무는 시간展"을 실시 중인 한혜경 작가는 "꽃, 나무, 바위 등 자연이 품은 아름다움과 강인함을 화폭에 담아 따뜻한 자연 감성의 울림을 많은 사람들과 이야기 나누고 싶었다. 작품에 시선이 머무는 자리마다 생명력과 감정이 스며들어 감상자들에게 화려함 속에 고요함을, 강인함 속에 섬세함을 담아 위로와 치유의 힘을 전하고 한다."고 말했다. [healing time - 2] 작가는 현재 (사)한국미술협회, (사)국제현대예술협회, 남양주미술협회 회원으로 생명의 꽃 모란을 주제로 창작 활동을 왕성하게 하고 있다. 또한 모란꽃으로 희망과 행복을 나누는 작가의 고유한 역할을 진정성을 가지고 창작하는 미술인으로 알려져 있다. [healing time - 3]  

도자조형 황현숙 작가, 재료와 나의 물아일체 "흙과 대화를 나누고" 개인전

  [황현숙 작가] 흙을 만지는 질감을 좋아하고 생각과 철학을 흙에 맞춰 독창적인 예술세계를 펼치고 있는 도자 조형 황현숙 작가는 오는 9월 27일(토)까지 서울 종로구 소재의 세지화랑(관장 장숙영)에서 "흙과 대화를 나누고" 타이틀로 개인전을 진행한다. 자신과 흙의 물아일체 그리고 소재와의 일치감에서 의도적이 아닌 자연 발생적인 순수한 도자조형 작품이 완성된다. [포스터] 흙의 특성에 장단을 맞추듯 형태를 조절하여 형성시킨 추상적 도자 작품은 형식에 맞추지 않은 자유로운 형상으로 흙의 부드러움과 유연함을 느낄 수 있으며, 단단하고 힘이 있는 창의적 생활 도자기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의 도자 조형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흥미로운 디자인 요소들은 설계도가 따로 필요치 않은 자유로운 상상과 일상에서 떠오르는 생각의 표현이다. [황현숙作1] 흙이 단순히 그릇의 기능을 넘어 예술적 형상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작품들은 마치 자연의 시간을 응축해 놓은 듯 유기적 곡선과 주름 그리고 때로는 기하학적 긴장감을 함께 품고 있다. 이번 전시는 흙과 불 조화와 작가의 사유가 만나 탄생한 또 하나의 세계를 탐색하는 여정이라 할 수 있다. [황현숙作2] 전시의 작품들은 하나의 공통된 언어를 지닌듯하면서도 각기 다른 목소리를 낸다. 어떤 작품은 바다를, 어떤 작품은 숲을, 또 어떤 작품은 우주와 문명의 파편을 떠올리게 한다. 그러나 그 바탕에는 모두 ‘흙’이 있다. 흙은 생명의 근원이며, 인간의 삶과 가장 가까운 물질이다. 작가는 그 흙을 통해 삶과 시간, 그리고 존재의 의미를 끊임없이 탐구한다. [황현숙作3] "흙과 대화를 나누고" 개인전을 실시하는 황현숙 작가는 "자유롭게 원하는 것을 만드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흙의 습도에 따라 얻어지는 형태들은 인간의 다양한 삶을 이야기 한다. [흙과 대화를 나누고展1] 또한 작품을 통해 관람객들이 행복의 기분을 찾는 휴식과 위로의 시간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작가는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 전공 출신으로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강조하는 작품으로 창작 작업을 하고 있다. [흙과 대화를 나누고展2]  

수묵화 황영식 작가, 화업 44주년 기념하는 '실경산수 수묵화전' 한벽원미술관에서 개최

  [황영식 작가] 전통화법에 따라 실경산수의 진수를 보여주는 수묵화 황영식 작가는 오는 9월 22일(월) ~ 10월 5일(일)까지 서울 한벽원미술관에서 개인전을 진행한다. [중국현대수묵화가 가우복 선생, 백우 황영식 작가 0]   전시 작품의 고즈넉한 가을 연밭 풍경은 양평 두물머리 모습을 수묵의 세계로 탄생시켰으며, 동해 무릉계곡, 수성계곡, 인왕산 등 자연을 보고 느끼며 사생 후 작품으로 완성하여 진정성이 묵직하게 다가온다. [포스터] 이번 전시는 18회 개인전이며, 화업 44주년과 중국 유학 32주년을 기념하는 화집 출간까지 하는 뜻 깊은 전시로 예술적 여정을 총망라하는 시간으로 작가 생활의 중간 결산이라 할 수 있다. 전시에는 수묵산수, 홍송도, 추련, 죽림도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 작품들이 관람객을 맞이한다. [가을 연밭 1] 또한 2005년 학고재 초대개인전에서 선보였던 광주전남 지역의 가사문화권 정자시리즈(100호 크기) 작품을 비롯해 부감법(俯瞰法)으로 제작된 약사암 전경작품 등 장기간 현장 체험을 통해 완성된 대작들도 이번 화집에 수록되었다. [겸재 정선 인왕제색도 2] 작가는 중국 유학 시절 모사했던 북송 범관 "계산행려도", 남송 이당 "만학송풍도", 원대 황공망 "부춘산거도", 명대 심주 "여산고", 산서 영락궁 벽화 인물도 등 중국 고전 작품들도 화집에 담았다. [월하송정도 3] 조선시대 겸재 정선의 "인왕제색도", "청풍계도" 역시 모사하여 수록했으며, 화집의 표지 글씨는 현대 수묵화의 거장 가우복 선생이 직접 휘호했다. 먹을 중첩하며 작품을 완성해 나가는 화법은 사실감으로 몰입하게 만들고 검정색이 아름다울 수 있는 느낌을 받게 한다. [저녁노을 4] 조선과 중국 대가들의 작품을 모사하고 직접 그린 다수의 실경 작품 완성 경험이 작가의 독창적 예술세계로 구축 되었다.  제18회 개인전을 실시하는 백우 황영식 작가는 "철저히 현장을 체험하고 작품을 구상하는 방법으로 그림을 완성해 나간다. 세필로 섬세하게 묘사된 수묵의 아름다운 자연은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이미지로 만들어 우리 전통 수묵화의 매력을 많은 사람들과 나누고 싶다."고 말했다.   작가는 1992년 한중수교 직후 중국 중앙미술학원에 입학하여 1996년 연구생 과정을 졸업했다. 한국인 1기 졸업생으로 기록 되었으며, 이후 수묵화를 전통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며 왕성한 창작과 전시 활동을 진행해 오고 있다.

청담 보자르갤러리, 이희돈 작가 "인연을 넘어, 필연으로 마주하다" 초대개인전

얽히고 흩어지는 인연이 필연으로 수렴해 가는 과정을 회화로 제시하는 이희돈 작가는 서울 강남구 소재의 청담 보자르갤러리(대표 허성미)에서 오는 10월 3일까지 "필연(必然): Destiny - 인연을 넘어, 필연으로 마주하다" 타이틀로 초대개인전을 실시 중에 있다.   '단색화 1.5세대'의 주요 작가로 손꼽히는 이희돈 작가는 서구의 모노크롬이 담아내지 못하는 한국적 정서와 질감을 자신만의 독창적인 방식으로 선보여 왔다.   작업은 곧 그의 삶 자체이다. 어떠한 어시스트도 없이 홀로 작업에 몰두하는 그의 작업실과 주거 공간은 3천 점이 넘는 작품들로 가득 차 있으며, 이는 그의 예술적 집념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포스터] 그의 회화는 단순히 색을 칠하는 행위를 넘어 반복적인 수행과 축적을 통해 시간의 흐름을 기록하는 과정이다. 이는 한국적 미감과 정조를 담아내는 단색화에 수행성을 결합함으로써 새로운 미학적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희돈 작가 인연을 넘어, 필연으로 마주하다展1] 회화 세계는 '인연생기(因緣生起)'라는 사유에 뿌리를 두고 있다. 캔버스 위에서 얽히고 쌓이는 물감의 복잡한 구조는 인간과 우주 그리고 모든 존재가 서로 연결되는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이다. [이희돈 작가 인연을 넘어, 필연으로 마주하다展2] 천연 한지에 들어가는 닥나무 섬유질과 배합한 특허 받은 물감을 타공 기법한 캔버스 위에 마대 끈을 엮고 직접 만든 한지 섬유 물감을 겹겹이 쌓아 올린 작품들은 작은 점과 같은 인간 존재가 맺는 인연을 담아낸다. [인연1] 특히 오방색의 중첩과 두터운 마티에르는 한국적이면서도 현대적인 미감을 자아내며, 희로애락이 응축된 화면은 거대한 우주 질서 속 생명력과 신비를 드러내고 있다. [인연2] 작품은 인연이 충돌하고 확장하는 순간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며, 이는 작가의 내면 깊숙이 자리한 자유의 열망을 온전히 담아낸다. 결국 그의 작업은 인연이 필연으로 수렴해 가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깊이 있는 탐구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인연3] 청담 보자르갤러리 허성미 관장은 "반복과 수행의 붓질, 시간의 축적을 통해 인간과 우주를 잇는 소통의 구조를 구현한 철학적 작품은 감상자에게 큰 울림을 전달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인연4] 이번 전시는 작가의 주요 연작과 신작 20여 점을 선보이며, 관람객들에게 삶의 본질과 마주하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는 전시로 진행 중에 있다. [인연5]  

More News

이전
다음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