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6℃
7℃
5℃
8℃
6℃
5℃
7℃
7℃
8℃
0℃
8℃
8℃
6℃
8℃
7℃
4℃
3℃
8℃
6℃
7℃
12℃
7℃
7℃
6℃
6℃
[김복동 작가] 인간의 기원, 우주의 기원, 생명의 기원 등 존재하는 모든 것들에 대한 탄생의 질문을 회화적으로 풀어냈다. 심오한 철학적 주제를 예술로 전환하여 우주만물의 원초적 기원과 존재를 화두로 던지면서 삶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작품으로 김복동 작가는 2025년 10월 29일(수) ~ 11월 3일(월)까지 서울 인사아트센터內 3층 G&J갤러리에서 "기원-존재" 타이틀로 개인전을 진행 중에 있다. [포스터] ‘내 존재의 뿌리는 누구로부터 언제 어디에서 기원하는가?’ 이 질문에서 출발하여 이번 "기원-존재" 연작을 제작하게 되었다. 작품 속 동물들의 등장은 생명체들의 시작에 대한 의문과 존재 가치를 탐색하려는 의지의 표현물로 인류역사와 함께한 존귀한 이미지로 구축했다. [기원-존재展1] 다채로운 채색으로 구성되는 미술작품들의 시각적 요소가 사상과 철학의 깊이를 가늠하게 하고 대화의 주제가 될 수 있도록 편안하게 만들었다. 기후 위기로 발생되는 멸종 동물들에 대한 관심이 창작의 출발점이 되었다. [기원-존재展2] 동물 연작들은 생명탄생의 시작을 찾아가려는 매개체가 되었으며, 인간과 공존하는 생물들에 대한 단순한 사실적 기록을 넘어서 존재론적 질문도 던진다. 또한 현실을 재현하는 동시에 소멸의 순간을 정지시켜 영원한 사유를 꿈꾸며 생명 존중과 사랑을 드러냈다. [기원-존재展3] 사라져가는 존재들을 지켜내려는 의지를 넘어 보존에 대한 절박함이 묻어나고, 산업화와 무분별한 개발로 멸종된 생물들의 기억을 잊지 않으려는 뜻도 담겨있다. 생동감 있게 사실적으로 묘사된 동물들의 등장은 지켜달라는 간절한 호소로 연결하여 관심을 증폭시키려 했다. 기원과 존재를 알아가려는 사유의 탐구가 상생의 키워드로 발전하여 나와 별개가 아닌 밀접한 관계성을 이야기한다. [기원-존재1] "기원-존재" 개인전을 실시하는 김복동 작가는 "동물, 돌, 유토피아를 한 캔버스에 담아 기원과 존재에 관한 물음을 던졌으며, 개인적인 존재론부터 함께 살아내는 환경과 기후에 대한 고민을 그림으로 창작하여 많은 사람들과 교류하고 싶다."고 말했다. [기원-존재2] 작가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회화과 졸업 출신으로 개인전 20회, 단체전 500회 이상 개최한 중견 작가로 활동 중이며, 오는 11월 8일(토) ~ 11월 29일(토)까지 나주미술관에서도 전시를 진행할 예정에 있다. [기원-존재3]
[대광119안전센터 소방위 박승욱] 방화문 닫기는 화재로부터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가장 기본이자 중요한 실천 사항이다. 방화문 닫기의 필요성을 살펴보면, 방화문은 화재 시 열과 연기의 확산을 막아주기 때문에 비교적 안전환 대피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계단실 방화문의 경우 화염과 유독가스가 대피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늦춰 인명 피해와 재산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처럼 화재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방화문의 올바른 관리를 위해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첫째, 방화문 앞에 장애물, 물건 등을 방치하지 않아야 하며, 닫힘을 방해하는 요소는 즉시 치워야 한다. 둘째, 방화문 관리와 점검에 대한 관심을 갖고, 고장 및 이상 발견 시 즉시 관리사무실에 알려 조치하게 한다. 셋째, 환기 및 이동 후 항상 방화문을 닫는 행동을 매번 실천해 자연스럽게 익숙해 질 수 있도록 습관화 한다. 넷째, 관리사무소나 공동체는 방화문 닫기의 중요성과 행동 효과를 주민교육 안전캠페인을 통해 반복적으로 홍보한다. 이처럼 방화문 닫기 습관은 반복행동, 긍정적 동기 부여, 공동체 실천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효과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아파트 화재 예방과 인명 보호의 가장 중요한 첫걸음은 “방화문 닫기“ 생활 속에서 방화문을 항상 닫고, 올바른 대피 요령을 숙지하는 것이 우리 가족과 이웃 안전을 지키는 기본이 될 것이다.
"FROM 바다 그 너머"라는 테마로 디지털시대에 많은 정보의 홍수와 무더운 여름에 지친 심신을 위로해줄 이번 전시는 단색조의 색채를 사랑하는 많은 컬렉터와 미술 관계자의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FROM 바다 그 너머 개인전1] 바다를 오랫동안 바라보고 있으면 수평선에 시선이 가고 그와 동시에 자신과 관련된 여러 시간과 공간을 이동하는 경험이 있을 것이다. 전봉열 작가는 그 수평선이 작가에게 또 다른 시간과 공간을 여는 문이 되었다고 말한다. 또한 자신을 돌아 볼 수 있는 시간들로 인해 자신의 정체성에 접근할 수 있었다고 한다. [FROM 바다 그 너머 개인전2]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 속 느껴지는 낯섦은 인간 내면의 공허함을 불러일으킨다. 이러한 공허함을 채우기 위해 사람들은 자신에 경험에 빗대어 수많은 반복적인 질문에 선택과 결정을 하며 삶을 이어갈 것이다. 이것이 정체성이라고 그는 말한다. 그의 작업은 한 사람의 정체성에 대한 접근 과정이라고 설명한다. [FROM 바다 그 너머 개인전3] 작가는 바다와 바다 위 일렁이는 파도를 함께 나타낸다. 물과 바람이 함께 만들어내는 파도는 바다의 대표적인 상징이라고 볼 수 있다. 순간적으로 존재했다가 소멸하는 파도는 계속해서 반복된다. [FROM - 전봉열作1] 그는 드러났다가 사라지는 파도의 반복성을 통해 바다가 살아있음을 증명 시킨다. 일출과 일몰을 연상시키는 신비스러운 빛깔과 함께 끊임없이 변주되는 파도의 형태를 표현한다. 아주 미세하고도 세심한 물결을 그려내는가 하면 거친 파도의 형태를 한 물결도 그려낸다. [FROM - 전봉열作2] 바다의 이미지를 자세히 관찰하다 보면 수직의 선을 발견할 수 있다. 실오라기처럼 가느다랗고도 섬세한 선을 보면 정신적 가치, 혹은 이성의 빛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파도가 무성한 바다는 작가에게 있어 감성적인 존재이다. [FROM - 전봉열作3] 이에 반해 바다와 수직이 되는 선은 견고한 이성적인 존재의 상징이다. 가느다랗지만 꼿꼿이 뻗은 선은 감성적인 바다의 중심을 바로잡아주는 형태로 가치를 가진다. [FROM - 전봉열作4] 전봉열의 개인전 <FROM 바다 그 너머>는 누구나 한 번쯤 겪어봤을 수 있는 삶 속 공허함 그리고 한 사람의 정체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감성적이고 분명하고 풍부한 내면의 감각을 찾아가는 시간을 통해 한 사람에게 많은 의미와 감동을 줄 것이라고 그는 생각한다. [FROM - 전봉열作5] 바다 그 너머 깊은 심연을 이야기하는 작가는 한 사람의 내면에서 만큼은 분명한 바다로 기억되기를 희망한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김수관 상무치수치과대표원장] 광주광역시 상무 수(秀)치과 병원 김수관 대표원장은 지금까지 개인 기부한 금액만 17억 원을 포함하여 사회봉사 기여 금액 26억 원, 수혜자는 40만여 명이 넘는 꾸준한 후원 활동을 펼치며 봉사활동을 통해 지역 사회에 큰 귀감이 되고 있다. 또한,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아너소사이어티’, ‘대한적십자사 레드크로스아너클럽’, ‘초록우산어린이재단 그린노블클럽’, ‘유산기부자 그린레거시클럽’ 등 1억원 이상 고액 기부자 클럽 4곳에 이름을 올렸으며, 조선대학교와 조선대학교 경상대학, 조선대학교 총동창회 등에 각 1억 원 이상을 기부하였으며, 유산기부 7개 기관에 가입하며, 유산기부 누적 기부금은 2억 여원이다. [김수관 상무치수치과원장 의료봉사] 봉사와 기부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1983년 입학 후에 낙도인 완도군 약산도에서 진료봉사할 때부터 치아가 다 빠진 장애인과 충치가 많은 초등학생을 보면서 그 당시 위치에서 할 수 있는 것부터 지속적으로 봉사를 실천하다가 2011년 1월 휴가를 내서 필리핀 해외진료봉사를 하면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의 어려운 이웃과 함께 더불어 나누는 마음을 갖기 시작하였다. [상무수치과 직원들과 함께] 그리고 나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버킷리스트에 1달에 20회 정도의 봉사 활동 참여나 기부 활동을 하며, 자신의 사망 보험금도 기부하였다. 기부보험은 기부자가 자신을 계약자 및 피보험자로 하고 사회공헌단체를 수익자로 지정해 기부자가 사망하면 사망보험금을 지정한 단체에 지급함으로써 사랑나눔을 실천할 수 있는 아름다운 보험이다. 적은 금액을 모아 향후 큰 금액을 기부할 수 있으며, 장기적인 기부금 방법으로 안정적이고 계획적이 이웃사랑 실천이 가능하다. 특히 일회성 기부가 아닌 오랫동안 실천할 수 있는 지속적인 기부 방법이다. 2005년 6월 14일, 혈우병 환우단체인 ‘한국코헴회’ 유산기부를 시작으로 2007년 모교인 ‘조선대학교’와 ‘광주동신고등학교 장학문화재단’에 유산기부, 2009년에는 스마일재단에, 2020년에는 광주 고려인마을과 초록우산어린이재단, 2022년에는 굿네이버스까지 7개 기관에 누적 기부금 2억여 원을 했다. 기부와 봉사를 하면서 기억에 남는 장면에는 벌써 18년 전인 2005년 12월 광주 일곡중학교 차OO 학생의 백혈병 치료를 위해 500만 원을 기부한 경험, 2009년 5월 청소년 남아의 위턱과 아래턱의 부조화로 씹는 기능장애와 안면추형을 회복시킨 경험, 2017년 12월 1일 포항 지진 피해 지역서 무료 치과 진료로 재능을 기부한 경험도 있다. 광주고려인마을과는 다음과 같은 깊은 인연을 맺고 있다. 2014년 5월 11일 고려인마을에서 무료 치과 진료 봉사를 시작으로 약 10년간 오랜 인연을 맺어왔으며, 그 이후 2018년 1월부터 고려인마을 치과의료지원단장과 2020년 1월 고액 기부를 통한 유니체어와 치과의료 장비를 기증하였다. 2020년 5월 11일 이후부터 현재까지 매주 화요일에 치과 진료 봉사 활동을 하고 있으며, 최근 2022년 8월 5일부터는 고려인마을 어린이합창단 운영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2020년 광주 고려인마을에 4,000만 원 종신보험 1호 약정서를 기탁했으며 광주 새날학교 학생들을 위한 장학금 등 1억 2천여만 원을 지원하고 있다. 최근에는 2022년 2월 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생활 터전을 잃고 우크라이나에서 탈출해 조상 땅에 온 고려인 동포에게 위로가 되고, 이들이 다시 희망을 품을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우크라이나를 탈출한 고려인은 물론 항일독립투사 후손 고려인 동포들의 건강지킴이로서 역할을 감당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으며, 이를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인 치과 의료 봉사와 기부를 할 예정이다. 나눔 활동을 하면서 특별히 갖고 있는 목표나 바람에는 꾸준한 봉사와 후원을 진행할 예정이며, 지역 사회에 귀감이 되려고 노력하고 있다. 또한 광주고려인마을에 정착한 이들은 일제강점기 때 중앙아시아인 우크라이나 쪽으로 강제로 이주된 한민족의 후예들을 위해서 다시 희망을 품을 수 있도록 미력하나마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 나의 작은 나눔 실천이 또 다른 이들의 나눔으로 이어졌으면 좋겠으며, 앞으로도 꾸준한 기부와 봉사를 이어갈 계획으로 세상을 위해 나를 기부하라! 아주 작은 재능이라도 마음만 있다면 필요로 한 곳은 존재한다. 그러므로 나눔이란 성실한 삶을 통해서 희망의 등불을 세상을 밝히는 것이 목표이고 행복의 원천이다면서 나눔은 아직도 진행형이라고 말하고 있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청송 김성대 시인.수필가 (2)] [매일] <수필가/시인/김성대> 매일每日 초조焦燥함에 여유餘裕가 없는 오늘 얼마나 지났는지 알 수가 없지만 서둘러 참회懺悔와 성찰省察하면서도 알뜰히 챙기지 못해 야속野俗했던 그 사람을 사랑해도 될까요 망설임 없이 남겨진 섬섬옥수纖纖玉手 추억追憶 둥글둥글 아침 해처럼 떠올라 희미稀微하게 누덕누덕 칠십 고개 솔솔 유영游泳하듯이 넘어갈 때도 아쉬움이 없도록 종종걸음으로 달려가고 있네 헛바람이 불어 내 마음 할퀼 때면 누더기 같은 하루가 따가운 눈총으로 약속約束했던 일과日課도 없어도 터 끌만큼 뚜렷이 남아 있던 끝 정情이라도 남김없이 다 주고 싶다 약력(靑松 金成大) *전라남도 나주시 금남동 출생 *나주초, 중, 공고(한독기술) 졸업 *1970년도 대입(고졸) 검정고시 합격 (광주 전남 검정고시 동문회 고문) *광주대학교 행정학과 졸업 *전남대 평생교육원 문창과 2년 수료 *LG화학 나주공장 정년 퇴직 *2006. 1월 호남투데이 신춘문예 시 부문 대상 수상 *2006. 2월호 월간 한울문학 시 부문 등단 및 호남지회장 역임 *현대문예, 동산문학 수필 등단 *한국문인협회 나주지부장(나주문인협회 회장) 역임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추모시집 수록 *문학시선 명예회장, 좋은문학, 송아리문학회 고문 *(사)대한민국문화예술교류진흥회 문학대상 수상 *서울평화문화 대상 수상 *한국지역방송 연합회 언론인 대상 수상 *윤동주탄생 100주년 기념 공모전 詩 부문 특별문학상 수상 *타고르문학상 공모전 詩 부문 대상 수상 *광역매일 문학상 공모전 詩 부문 대상 수상 *문학촌. 검정서원 금상 수상(2023. 6. 17) *대통령 표창, 내무부 장관, 행정안전부 장관 표창 외 다수 *한국문인협회 / 국제펜 한국본부 회원 *국제펜한국본부 광주지역위원회원( 사묵국장, 감사 역임) *전남지방경철장 외 감사장, 감사패 다수 *중국 연변국제한국학교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 시비 세움 *중국 연변국제한국학교 백일장대회 심사위원 *한국문인협회 제28대 문인기념공원설립위원회 위원 *문학촌 문인협회 이사 *4.19문화원 자문위원 *사)행복을 찾는 봉사회 중앙회 자문위원 *광주시민발전연합회 고문 *소록도 100주년 기념, 서울 잘 살기 기념관 시화전 외 다수 *대한민국 문학메카 탄생 명인/설립 추진 자문위원 *가락 나주시 종친회(김해김씨,허씨,인천이씨) 회장 *가락 전남 종친회(김해김씨,허씨,인천이씨) 감사 *서울일보 호남취재본부 광주본부장 *찬송 찬양곡 24곡 작사 "아침을 기다리는 파수꾼" 외 *가곡 10곡 작사 "오 나주여, 광주장원산악회歌" 외 *트로트곡 "정류장" 작사 *시집 7권 : 사랑이 머물다 간 자리, 진달꽃, 오 나주여, 디카시집, 삶의 정류장, 그리운 사람, 꽃잎은 떨어져도 [김성대 작가]
by 수원본부장 손옥자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은 “수원발레축제가 세계적인 발레축제로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18일 저녁 수원제1야외음악당에서 시작된 ‘2023 수원발레축제’ 메인공연에 앞서 관객들에게 인사한 이재준 시장은 “그동안 수원발레축제가 성공적으로 치러지도록 노력해 주신 수원발레축제 총감독님과 발레단에게 감사드린다”며 “수원발레축제가 더 성장할 수 있도록 수원시의회, 발레인들과 힘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 이재준 수원시장이 2023 수원발레축제 메인공연에 앞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어 “시민 여러분께서 수원발레축제를 더 사랑해 주시고, 응원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올해로 9회째를 맞은 수원발레축제는 국내 최정상급 발레단의 공연 등 발레의 모든 것을 볼 수 있는 축제다. 유니버설발레단, 서울발레시어터, 이원국발레단, 와이즈발레단, SEO(서)발레단, 김옥련발레단, 정형일발레크리에이티브, 윤별발레컴퍼니, K-ARTS발레단 등이 18일부터 20일까지 수원제1야외음악당에서 열린 메인공연에 참여했다. 20일 오후 8시부터 열리는 ‘발레 갈라스페셜’로 올해 수원발레축제는 마무리된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예술 분야 세계 최고 교육기관으로 평가받고 있는 영국왕립예술대학이 전 세계 청년 예술인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3주 참여형 위크숍'이 내년에는 성남시에서 열린다. 성남문화재단은 "18일 오후 3시(현지 시각) 런던 영국왕립예술대학에서 성남문화재단 서정림 대표이사와 영국왕립예술대학 톰 사우돈(Tom Sowden) 부학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성남문화재단 서정림 대표이사(왼쪽 세번째)와 영국왕립예술대학 톰 사우돈(Tom Sowden) 부학장(왼쪽 네번째)이 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성남문화재단 제공 1837년에 설립된 영국왕립예술대학(Royal College of Art^RCA)은 영국에서 유일하게 미술 및 디자인 분야의 대학원 과정으로만 구성된 대학으로 데이비드 호크니, 트레이시 에민, 크리스 오필리, 제임스 다이슨 등 세계적 아티스트와 디자이너들을 배출했다. 대학평가기관인 QS가 9년 연속 세계대학 중 미술·디자인 부문 1위로 평가할 만큼 세계 최고의 명성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성남문화재단과 RCA는 전 세계 청년 예술인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2024년도 '3주 참여형 워크숍'(Summer short course)을 공동 기획해 성남아트센터에서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영국왕립예술대학이 '3주 참여형 워크숍'을 영국 내가 아닌 국외에서 개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워크숍은 세계 각국에서 참여한 청년 예술가들을 대상으로 성남문화재단과 RCA가 공동 기획한 다수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 과정을 통해 창작된 결과물을 관객들에게 선보이는 형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성남 청년 예술가와의 별도 워크숍도 마련된다. 특히 양 기관은 2025년에는 RCA 현지에서 성남의 예술가들이 참여하는 '아티스트 토크'와 '워크숍'을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서정림 대표이사는 "RCA 개교 최초로 진행하는 국외 거점 프로그램을 성남문화재단이 함께 한다는 점은 큰 의미가 있다"며 "이를 계기로 전 세계 차세대 미술가들에게 성남의 문화 브랜드를 인식시키고, 잠재력 있는 지역 예술가들의 역량 강화와 해외 진출 기회가 확대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독립운동가 김학철의 초기 소설과 산문을 담은 책 ‘태항산록’이 출간됐다, 김학철은 1916년 조선 원산에서 태어나 원산 총파업, 의열단, 조선 의용대, 중국공산당 등 항일 투쟁의 최전선에서 활약했다. 한반도가 분단하기 이전 북한과 남한을 오가며 작품활동을 했지만, 김학철은 그 어느 곳에도 정착하지 못하고 1950년 중국으로 향한다. [태항산록] 김학철/ 보리/ 476쪽 책은 태항산에서 활동한 조선의용군의 일상생활을 소설로 기록했으며 단편소설 14편과 산문 30편을 담았다. 특히 태항산록에 수록된 ‘균열’과 ‘담뱃국’은 역사 속에서 사라질 뻔한 조선의용군의 존재를 형상화하며 우리 문단에 이를 처음 알린 작품이다. 조선의용군의 일상생활을 생생하고 진솔하게 소설로 기록, 이들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담아냈다. 일제강점기 말, 항일 무장투쟁에 선봉에 섰던 조선의용군. 이들은 남한에서는 사회주의 단체라는 이유로, 북한에서는 김일성 독재에 반대한다는 이유로 남과 북 모두에게 외면당해 왔다. 저자는 고사(故事)와 성구(成句)를 적절히 활용해 당시 시대상을 익살스럽게 풀어낸다. 특히 산문 ‘전적지에 얽힌 사연’의 경우 태항산 호가장 전투에 관해 서술한 유일한 기록으로 조선의용군 29명이 중국 팔로군 지원없이 일본군 300여 명에 맞서 싸운 전투를 해설한다. 책을 통해 일제강점기 동안 벌어진 광주학생운동, 만보산 사건, 리재유 체포 사건 등 격변의 시대상과 독립운동가로서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김학철의 정신을 살펴볼 수 있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경주 서라벌문화회관에서 무형문화재 연합 공개 발표회가 오는 23일 오후 5시부터 펼쳐진다. 이번 공개 발표회는 경주에서 활동 중인 도 지정 무형문화재 전승교육사 정성룡, 정소라(판소리흥보가), 정은주(가곡), 주영희, 임종복(가야금병창)을 비롯한 전수자들이 국악의 멋과 흥을 선보인다. [5. 무형문화재 연합 공개 발표회 개최] 특히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흥보가 보유자 정순임 명창도 특별 출연해 공개 발표회를 빛내줄 예정이다. 가야금병창, 가곡, 판소리흥보가는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19호, 제28호, 제34호에 각각 지정돼 있다. 시는 이번 공개행사를 통해 지역 주민들에게 다양한 색채의 전통국악을 한자리에서 접하고 이해할 수 있는 뜻깊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시 관계자는 “시민들이 전통 국악의 멋과 흥을 마음껏 즐길 수 있는 무형문화재 연합공개 발표회를 마련했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by 노상균 대구.경북 취재본부장교권 침해로 인한 잇따른 사회문제가 발생하는 가운데 가정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깊어지고 있다. 이 책은 부모에게 반항하는 아이, 학교와 사회에서 일탈행위를 하는 아이의 심리에 대해 다양한 사례와 해법들을 소개한다. [깨어있는 양육] 셰팔리 차바리(지음), 구미화(옮김)/나무의마음/384쪽 저자는 성공적인 양육의 핵심이 ‘부모의 정서 상태’에 있다고 주장한다. 부모 자신의 정서적 패턴을 분석하고 풀어내지 않는 한 아이의 문제 행동을 교정하긴 어렵기 때문이다. 책은 지켜보기, 물어보기, 중립지키기, 협상하기, 공감하기, 해결하기 등 6단계 전략을 통해 아이의 행동 뒤 숨겨진 진짜 메시지를 해독하고 부모로서 중심을 잡고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다. 훈육 문제에 대해 본질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아이와 더 깊게 교감하고 긍정적 행동을 이끌도록 돕는다. 일상이 고고학 나 혼자 백자 여행 황윤/책읽는고양이/240쪽 화려하진 않지만, 순백의 소박함은 조선백자가 가진 아름다움이다. 이 책은 조선백자를 제대로 감상할 수 있도록 감상자의 시각을 확장해주는 해설을 수록했다. [일상이 고고학 나 혼자 백자 여행] 황윤/책읽는고양이/240쪽 15세기 말부터 16세기 중반까지 조선백자는 전성기를 맞는다. 하지만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 전쟁을 겪으면서 조선백자의 질은 크게 하락한다. 17세기에 이르러 유행한 달항아리는 오늘날 현대의 미적 가치에서 그 평가가 재해석 되고 있다. 책은 조선백자의 역사를 해설하며 과거와 현대의 미학적 시각의 차이를 설명한다. 저자는 단순히 조선백자의 이야기를 넘어 세계사 속에서 한국 도자기의 의미를 살펴보는 안목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책은 조선의 도자기뿐만 아니라, 중국의 청화백자의 영향, 임진왜란 때 끌려간 조선 도공들로 인한 일본 도자기의 변화 등 한·중·일 동아시아사의 흐름 속에서 한국 도자기를 분석한다. [안전가옥] 고든 코먼(지음),이철민(옮김)/미래인/304쪽 청소년 문학의 거장 고든 코먼의 100번째 소설이 출간됐다. 책은 주인공과 그 친구들이우연히 지하 벙커가입구를 발견하고 벙커는 가정폭력과 아동학대에 처한 소년들에게 일종의 안전 가옥이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았다. 지하벙커라는 기발한 소재는 자칫 무거울 수 있는 가정폭력과 아동학대라는 현실 속 어두운 주제를 흥미롭게 풀어낼 수 있도록 돕는다. 저마다의 상처를 지닌 소년들의 이야기를 통해 참된 우정을 쌓아가는 과정은 감동적으로 다가온다. 저자는 부모의 마약과 알코올 중독 등으로 인한 아동 방치와 학대 등 무거운 현실을 정면으로 응시하면서도 비참한 현실에 처한 10대들의 우정을 소설로 그려냈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청송 김성대 시인.수필가 (2)] [정류장] <수필가/시인김성대> 정류장 정류장 마음편히 쉬어다 가세요 정류장 인생의 가는길 괴로울 때도 슬을 때 보고플 때 고독할때 못견디게 그리울 때 지난 날들을 정리하는 마음으로 정류장에 쉬어 가세요 정류장 정류장 정류장 정류장 사랑의 정류장 당신을 위해 준비했어요 했어요 정류장 정류장 사랑의 정류장 마음편히 쉬었다 가세요 정류장 담신의 쉼터 당신만의 정류장 마음편히 쉬었다 가세요 정류장 추억의 향기를 담아 떠나는 사람아 또다시 정류장으로 찾아오세요 정류장 당신만의 정류장(으로) 만나고 헤어지는 삶의 정류장 눈물이 찡하게 나네 추억의 향기가 그리워지면 정류장에 정류장에 쉬었다 가세요 정류장 ~정류장~ 삶의 정류장 무장정 당신만을 기다립니다 정류장 ~정류장~ 사랑의 정류장 사랑의 향기로 기다립니다 Station (정류장: 김성대) Kim, Seong-dae Station, station, take a cozy rest at the station. When you're in pain, in sorrow, When you are lonely and unbearably miss someone, Just take a rest at the station To organize your past. Station. Station, station, station, that of love, I prepared this for you. Indeed I did. Station, station, the station of love, Take a cozy rest at the station. It's your resting place, your station. Please take a cozy rest at the station. Dear those who leave with the scent of memories, Please, come back to the station again. To the station, to your station. The station of meeting and separation. When you miss your reminiscence with tears, Station, station, take a rest at the station. Station, station, the station of life, Which is unconditionally waiting for you, Station, station, the station of love, It is waiting for you with the scent of love. 약력(靑松 金成大) *전라남도 나주시 금남동 출생 *나주초, 중, 공고(한독기술) 졸업 *1970년도 대입(고졸) 검정고시 합격 (광주 전남 검정고시 동문회 고문) *광주대학교 행정학과 졸업 *전남대 평생교육원 문창과 2년 수료 *LG화학 나주공장 정년 퇴직 *2006. 1월 호남투데이 신춘문예 시 부문 대상 수상 *2006. 2월호 월간 한울문학 시 부문 등단 및 호남지회장 역임 *현대문예, 동산문학 수필 등단 *한국문인협회 나주지부장(나주문인협회 회장) 역임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추모시집 수록 *문학시선 명예회장, 좋은문학, 송아리문학회 고문 *(사)대한민국문화예술교류진흥회 문학대상 수상 *서울평화문화 대상 수상 *한국지역방송 연합회 언론인 대상 수상 *윤동주탄생 100주년 기념 공모전 詩 부문 특별문학상 수상 *타고르문학상 공모전 詩 부문 대상 수상 *광역매일 문학상 공모전 詩 부문 대상 수상 *문학촌. 검정서원 금상 수상(2023. 6. 17) *대통령 표창, 내무부 장관, 행정안전부 장관 표창 외 다수 *한국문인협회 / 국제펜 한국본부 회원 *국제펜한국본부 광주지역위원회원( 사묵국장, 감사 역임) *전남지방경철장 외 감사장, 감사패 다수 *중국 연변국제한국학교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 시비 세움 *중국 연변국제한국학교 백일장대회 심사위원 *한국문인협회 제28대 문인기념공원설립위원회 위원 *문학촌 문인협회 이사 *4.19문화원 자문위원 *사)행복을 찾는 봉사회 중앙회 자문위원 *광주시민발전연합회 고문 *소록도 100주년 기념, 서울 잘 살기 기념관 시화전 외 다수 *대한민국 문학메카 탄생 명인/설립 추진 자문위원 *가락 나주시 종친회(김해김씨,허씨,인천이씨) 회장 *가락 전남 종친회(김해김씨,허씨,인천이씨) 감사 *서울일보 호남취재본부 광주본부장 *찬송 찬양곡 24곡 작사 "아침을 기다리는 파수꾼" 외 *가곡 10곡 작사 "오 나주여, 광주장원산악회歌" 외 *트로트곡 "정류장" 작사 *시집 7권 : 사랑이 머물다 간 자리, 진달꽃, 오 나주여, 디카시집, 삶의 정류장, 그리운 사람, 꽃잎은 떨어져도 [김성대 작가]
by 수원본부장 손옥자보령시는 19일부터 28일까지 보령문화예술회관 전시실에서 사단법인 한국석조각가협회 기획 초대전 ‘이음-함께 걷다’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사단법인 한국석조각가협회(회장 박주부)가 주최하는 이번 전시는 지난해 당진 예술의전당에서 가졌던 ‘아름다운 만남’ 전시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게 됨에 따라 또 한 번 기획전을 준비하는 계기가 됐다. [4.이음-함께 걷다] 이번에 열리는 ‘이음-함께 걷다’에서는 한국화, 서양화, 조각, 공예 등 전국 50명의 장애, 비장애 예술가들이 참여하며, 의미 있는 작품들로 막바지 무더위를 잊게 하는 좋은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박주부 회장은 “우리의 작은 힘이나마 희망이라는 꽃을 심고자 하는 열망에서 비롯된 이번 전시를 아름답게 바라봐 주었으면 한다”라며 “오늘 전시가 나비효과처럼 작은 예술의 날갯짓으로 아름다운 예술의 태풍이 되어 모두에게 일상의 행복으로 이어지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by 수원본부장 손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