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핵테온세종, 최고의 사이버보안 미래인재 가려낸다

세종시청사전경(사진=세종시) [금요저널] 올해 4년차를 맞아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린 ‘2025 핵테온 세종’ 사이버보안 경진대회가 국내외 최고의 사이버보안 미래인재로 꾸려진 본선 진출팀을 선발했다. 세종시는 최근 2025 핵테온 세종 국제 대학생 사이버보안 경진대회 온라인 예선전을 통해 고급과 초급 A·B 부문에서 총 40팀을 본선 진출팀으로 결정했다. 이번 대회는 그동안의 높은 참가 수요를 반영, 고급 부문과 초급 A·B 부문으로 진행돼 각국에서 다양한 수준의 대학생들이 각자 실력을 뽐냈다. 올해 예선에서는 국내 선수 외에도 일본과 중국, 베트남 등 총 32개국 180개 대학 466팀에서 1,606명이 나서 본선 진출을 위한 치열한 경쟁을 선보였다. 이는 지난해 대회에 참가한 세계 25개국 171개 대학 393팀 1,352명을 훌쩍 뛰어넘는 규모다. 특히 국내 대학생만 참가할 수 있는 초급A 부문에는 100개 대학 307개팀 1,005명이 참가해 국내 사이버보안 인재 발굴·양성에 크게 이바지했다. 예선전은 문제풀이 방식으로 웹해킹과 포렌식, 포너블, 리버싱 등 최신 정보기술 경향을 반영,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이버보안 취약점을 집중적으로 다뤘다. 예선 결과 고급에서는 ‘Blue Light Bug’ 팀 등 20팀이, 초급 A에서는 ‘LOLZZ’ 팀 등 10팀이, 초급 B에서는 ‘CyberPlow’ 팀 등 10팀이 본선진출의 영예를 안았다. 본선에 진출한 40팀은 오는 7월 10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본선에 참가해 치열한 사이버보안 역량 대결을 펼칠 예정이다. 본선은 예선전 초급 A·B팀을 병합해 고급과 초급 2개 부문으로 진행된다. 세종시는 본선 결과에 따라 각 부문별 대상 1팀, 최우수상 2팀, 우수상 4팀등 14팀에게 총 3,800만원의 상금과 부상을 수여한다. 경진대회 본선과 함께 국내 최대 사이버보안 행사인 ‘2025 핵테온 세종 사이버보안 콘퍼런스’도 오는 7월 11일까지 2일간 개최된다. 행사는 국내외 저명인사를 초청한 인공지능·사이버보안 강연과 정보통신기술·정보보안 기업 및 기술 전시회 등이 진행돼 혁신적인 사이버보안 기술을 모색한다. 또한, 한국정보보호학회 학술대회와 한국사이버안보학회 포럼, 과학기술정보보호협의회 등도 함께 개최된다. 최민호 시장은 “올해에 4년 차를 맞은 경진대회가 해를 거듭할수록 전 세계 많은 대학생이 대거 참가하고 있다”며 “핵테온세종을 미래 사이버보안 핵심 인재 양성의 요람으로 참신하고 권위가 있는 국제대회로 더욱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고 말했다. 한편 2025 핵테온 세종은 세종시가 주최하고 고려대·홍익대 세종캠퍼스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고려대세종SW중심대학사업이 주관하며 국가정보원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국내 20개 주요 기관이 후원한다.

아산시시설관리공단-현대차 아산공장, 영인산수목원 탄소중립 둘레길 조성

아산시시설관리공단-현대차 아산공장, 영인산수목원 탄소중립 둘레길 조성 [금요저널] 아산시시설관리공단은 현대자동차 아산공장과 28일 영인산자연휴양림 내 환경사회공헌사업의 일환으로 탄소중립 둘레길을 조성했다고 밝혔다. 영인산 탄소중립 둘레길은 총 300m 길이로 조성됐으며 수목의 탄소흡수 극대화를 위해 피압목 및 잡목 등을 제거했다. 제거된 수목은 둘레길 조성에 재사용됐고 토양 내 탄소 유실 방지를 위한 황토 피복과 탄소 저감 우수 수종인 병아리꽃나무 등 관목 3종을 식재해 탄소중립 실천에 기여했다. 공단과 현대차는 2017년 1사 1산 협약 체결 이후 매년 식목행사 등 다양한 환경사회공헌사업을 추진했으며 2025년에도 탄소중립 둘레길 조성을 시작으로 지속적인 탄소중립을 목표로 다양한 사업을 발굴해 나갈 방침이다. 김효섭 이사장은 “둘레길을 이용하는 많은 시민이 탄소중립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사회적 이슈인 탄소 중립 및 ESG 경영 실현을 위해 힘쓰겠다”고 말했다.

나주시립국악단 ‘삼색유산놀이’ 국립중앙박물관 3천여 관객 매료

나주시립국악단 ‘삼색유산놀이’ 국립중앙박물관 3천여 관객 매료 [금요저널] 나주시립국악단이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흥겨운 국악과 시원한 가창력, 춤사위가 어우러진 마당극을 통해 3천여 관객들을 흠뻑 매료시켰다. 전라남도 나주시는 지난 26일 국립중앙박물관 ‘박물관의 향연’ 프로그램을 통해 시립국악단이 ‘나주삼색유산놀이’ 무대를 선보였다고 29일 밝혔다. 나주삼색유산놀이는 조선시대 나주읍성에 살던 부녀자들이 신분과 계층을 뛰어넘어 함께 모여 춤을 추고 노래하며 음식을 나누는 화합의 축제였다. 농번기를 앞두고 음력 4월 봄이 되면 산으로 봄놀이를 가는데 이를 ‘산놀이’ 또는 ‘유산’ 이라고 불렀다. 남자들은 시회를 열고 여자들은 강강술래와 민요를 부르며 하루를 즐겼다고 전해져온다. 삼색유산놀이는 엄격한 신분 질서 속에서도 놀이를 통해 평등과 연대를 실현했던 나주만의 특별한 문화유산으로 큰 의미를 갖는다. 나주시립국악단은 관객들과 함께 공연 시작을 알리는 제사를 지내며 복을 기원하고 떡을 나누는가 하면 어린이 관객들과 유쾌한 대화를 주거니 받거니 관객이 참여하고 소통하는 마당극을 통해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국립중앙박물관 관계자는 “먼 곳까지 달려와 관객들과 함께하는 수준 높은 전통 공연을 선보여주신 시립국악단, 나주시에 감사드린다”며 “나주삼색유산놀이를 계기로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담은 다양한 공연을 적극 유치하겠다”고 관람 소감을 밝혔다. 윤병태 나주시장은 “이번 공연을 계기로 나주의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인 삼색유산놀이가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대중적인 공연 자산으로 거듭나길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나주의 전통 문화예술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해 온 국민들이 향유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More News

이전
다음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