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을 활용하여 엷은 채색으로 작가의 철학 및 사상을 글과 그림으로 제작하여 교류하던 과거 양반 사대부 계층의 문화에서 현재는 요즘 시대상을 반영한 일상과 풍경 이미지 삽입으로 공감을 얻는 현대문인화로 발전하고 있고 있다.
특히 문인화가 우정 정응균 작가는 전통과 현대적 이미지를 조화롭게 구사한 작품으로 오는 2025년 8월 20일(수) ~ 8월 26일(화)까지 서울 인사아트센터 3층 G&J갤러리에서 "온누리에 수묵빛" 타이틀로 개인전을 진행한다.
독창적인 조형 어법으로 사물의 본질을 묘사하면서 생명력 있는 작품 창조의 경지에 도달하여 필력 있는 작품이 탄생되고 있으며, 작가는 45년 동안 문인화를 탐구하고 작품 활동을 해온 경륜이 거의 전 작품에서 골고루 쉽게 읽혀진다.
무엇보다 정형화된 틀을 넘나드는 창의적인 작업 태도도 인상적으로 그 열정이 전통적인 필법을 뛰어넘어 휘몰아치는 태풍과 수려한 필치의 독특한 화면으로 나타난다.
동양화의 특징인 정신적 수양과 자연의 질서를 지니면서 문인화의 경계를 넘나드는 수묵에 세계와 구성 그리고 색채만으로도 작가의 내공이 가득하고 충실한 작품이 가능한 것이다.
전통적인 화법을 바탕으로 하면서 필력이 느껴지는 강렬한 필선으로 여백을 자유롭게 살려냈으며, 온화하고 부드러운 화면으로 살아있는 선율과 이미지로 문인화의 새로운 매력에 젖어 들게 하였다.
거침없는 붓질과 파격적인 필선에 거기다 능숙한 세련미와 속도감을 부여하여 정숙한 문인화의 묵향은 매우 흥미롭고 특징을 살리고 있다.
또한 주제를 아우르는 화폭의 안정감과 긴장감이 이미 문인 화가의 경력에서 넉넉한 사물과 풍경이 세련미로 나타나 작가 마음의 경지를 어김없이 보여주고 있다.
"온누리에 수묵빛" 개인전을 실시하는 정응균 작가는 “내 몸과 마음에서 나와야 그 작품이 춤을 추고 대중과 호흡할 수 있는 수준 높은 그림이 된다는 믿음으로 동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이야기를 문인화로 승화시켰다."고 말했다.
작가는 후진 양성을 위해 서울 인사동에서 화실을 운영 중에 있으며 1971년 서예에 입문하면서 문인화, 한국화를 시작하였고 문인화는 계정 민이식 선생님, 서예는 무산 허회태 선생님과 벽강 김호 선생님에게 사사 받으며 실력을 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