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시경쟁 고통을 줄여주고 싶었던 한 어른의 이야기,

    교사·전교조 활동 저자, 진보교육감 당선 이후,‘입시 고통’ 행정으로 해소 기대 교육청 들어가, “할 수 없다” 답변 좌절… 자신 반성·시대 비판

    by 이승섭 연합취재본부
    2025-07-29 18:20:18

     

    [장학사는 처음이라┃이광국 지음. 빨간소금 펴냄. 188쪽. 1만5천원]

    국어 교사이자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활동가인 저자가 이른바 ‘진보교육감’ 당선 이후 교육청 파견 교사와 장학사가 되면서 알게 된 사실들을 담담하게 기록한 에세이다. 저자는 이 책을 ‘노동수기’라고 불렀다.

    1970~1980년대 학창 시절을 보낸 이들에게 장학사는 ‘학교 청소를 하게 만드는 사람’이었다. 지금은 장학사에 대해 ‘교장, 교감 하려는 사람’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다고 저자는 말한다. 그러나 장학사는 학교 자율성과 민주적 학교 문화를 만들기 위한 지원자로서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

    학교 현장에만 있던 저자는 2018년 7월 인천시교육청으로 첫 출근을 했다. 그가 발령 첫해 맡은 업무는 ‘학교 업무 정상화’ ‘정책 사업 정비’ ‘토론회 운영’ 등이었다. 학교 업무 정상화는 여전히 논란인 ‘교사의 방학 근무조 운영 폐지’와 관련됐다. 정책 사업 정비는 행정 조직에서 흔히 나타나는 속칭 ‘업무 핑퐁’ 문제를 다뤘다. 이 같은 교육청의 모습은 저자가 겪은 일화를 통해 현장감 있게 드러난다.

    저자는 교육 운동으로 해결하지 못한 학생들의 ‘입시 경쟁’이란 고통을 교육행정으로 해소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안고 교육청에 들어갔다고 한다. 저자가 교육청에서 입시 경쟁 교육 해소를 위해 제안한 일들은 대부분 “그건 지역 교육청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야”라는 답변에만 그쳤다. 장학사노동조합을 만들고자 했지만, 뜻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저자는 이 책에 대해 진보교육감 교육청에서 장학사로 일한 자신에 대한 반성이며, 진보교육감 시대에 대한 비판이라고 설명했다.

    “교육감은 어떨까? 교육감은 지역 교육과 학예에 관해 예산 집행권과 인사권 등 상당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 이것 자체가 정치의 요소이므로, 교육감이 곧 정치적인 것은 문제가 안 된다. 그 권한을 어떻게 사용하느냐가 관건이다. 하지만 권력의 내재적 관성에 따라 권력의 유지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과, 그들이 교육 운동 또는 교육행정을 시작했을 때의 초심(비록 차기 선거 득표에 도움이 되지 않더라도)으로 권한을 행사하는 것은 아주 다르다. 이른바 진보교육감들은 얼마나 후자를 도모하고 있는가?” (148~149쪽)

    저자는 지난해 6월 ‘교육감에게 쓰는 편지’를 작성하고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에 보내 교육계에서 화제를 모았다. 입시 경쟁 해소를 교육부, 정부, 국회, 대학 등이 못 하겠다면, 교육청에서라도 해야 한다는 마음이었다고 한다. 저자는 올해 새 학기부터 인천 안남고등학교 체육 교사로 발령받아 학교 현장으로 다시 돌아왔다. 국어와 체육 복수 전공자였지만, 체육교사는 또 처음이라고 한다. 빨간소금 출판사 ‘처음이라’ 시리즈 6번째 책이다.





    저작권자 © 금요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전
다음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