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무대왕 김법민

    김성문 (사)가야연구원 원장

    by 수원본부장 손옥자
    2024-02-04 06:54:12

     

    [김성문 (사)가야연구원장]

    신라 문무대왕 김법민은 외삼촌인 김유신(흥무대왕)과 함께 삼국통일을 완수했다. 경북 경주시 문무대왕면 봉길리 앞바다에는 바위섬, 네 면에 수로가 나 있는 문무대왕 수중릉이 있다. 봉길리 앞바다 조약돌 위에 앉아 저 멀리서 밀려오는 파도를 바라보니 문무대왕의 위업을 떠 올리게 한다.

     

    김법민은 626년에 태종무열대왕과 문명왕후 사이에 첫째 아들로 태어났다. 25세 때는 진덕여왕의 명으로 비단에 수놓은 오언 율시의 태평송을 당나라 고종에게 바치는 일을 담당했다. 태평송은 주변 국가를 모두 복속시켜 위세를 떨친 당나라의 위대한 문무의 힘과 통치력을 예찬한 내용이다. 삼국통일의 대업을 노린 신라의 야심적인 외교의 시다. 당나라 고종은 태평송에 만족해하고 김법민을 태부경(太府卿)으로 임명해 돌려보냈다. 태부경은 당나라의 태부시(太府寺)의 장관으로서 황제의 재화와 보물의 수장을 관장했다. 아버지인 태종무열대왕은 왕자들의 관등을 높이고 29세인 김법민을 태자로 삼았다. 태자가 된 지 6년째 백제를 정벌하기 위해 당나라 내주(萊州)에서 내려온 소정방 군사를 아버지의 명으로 덕물도(덕적도)에서 맞이하는 역할을 했다.

     

     

    660713일 나당연합군이 사비성으로 진격하자 의자왕은 측근을 거느리고 밤에 웅진성으로 달아나고, 의자왕의 아들 부여융(扶餘隆)과 대좌평 천복(千福) 등이 나와 항복했다. 김법민은 부여융을 꿇어앉히고 지난날 의자왕이 신라의 대야성 전투에서 자기 누이를 억울하게 죽인 것을 꾸짖은 것으로 보아 동기간 인정이 듬뿍 느껴진다.

     

    6616월에 태종무열대왕이 세상을 떠나자, 김법민은 36세의 나이로 신라 제30대 왕위에 올랐다. 당나라에서 숙위하고 있던 동생 김인문(金仁問)과 유돈(儒敦) 등이 돌아와,

     

    소정방이 수군과 육군을 거느리고 고구려를 치므로 문무왕께서도 군사를 일으켜 호응하라는 명이 있었습니다.”

     

    이에 문무왕은 717일에 김유신을 대장군으로, 20여 명의 장군을 거느리고 소정방 군사에 호응하기 위해 출발했다. 8월에 문무왕이 장수들과 함께 현재 경기 이천시로 비정하는 시이곡정(始飴谷停)에 도착했을 때 백제의 잔당들이 현재 대전 대덕구 계족산성으로 비정하는 옹산성(甕山城)에 모여 길을 막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 문무왕은 군사들을 보내 전멸시켰다. 10월에는 당나라 황제의 사신이 왔다는 소식을 듣고 왕경으로 돌아갔다. 황제의 조칙은 아버지에게 제사를 지내도록 했고, 여러 빛깔의 비단 5백 단()을 증여받았다. 김유신 대장군은 군사들을 쉬게 하고 시이곡정에 기다리고 있었는데 당나라 유덕민(劉德敏)이 칙지를 가지고 왔다. 평양으로 군량을 수송하라는 명령이었다.

     

    명령을 들은 문무왕은 6621월에 김유신과 김인문 등 아홉 명의 장군에게 명해 수레 2천여 대에 쌀 4천 석과 조 22천여 석을 싣고 평양으로 가도록 명했다. 소정방은 군량을 얻자 날씨가 몹시 춥고 얼어붙을 지경이라서 곧 싸움을 그만두고 당나라로 돌아갔다. 이듬해 4월에는 당나라가 신라를 계림대도독부로, 문무왕을 계림대도독으로 삼았다. 이때부터 이미 당나라는 신라를 자기의 부용국으로 삼았고 이후에 침략할 뜻이 있었다. 6658월에는 당나라 칙사 유인원, 웅진도독 부여융, 문무왕이 웅진의 취리산(就利山)에서 맹약을 했다. 문무왕과 부여융은 백마의 피를 입에 발라 다시는 싸우지 않을 것을 맹세했다. 신라와 백제가 영원한 우방으로서 형제처럼 화친하겠다고 한 약속이었다.

     

    666, 41세가 되었다. 4월에 문무왕은 고구려를 치기 위해 당나라에 군사를 요청했다. 그러자 7월에 당나라 고종은 신라군이 평양에 모이도록 했다. 이듬해 8월에 문무왕은 대각간 김유신 등 30명의 장군을 거느리고 한성정(漢城停)에 도착해 당나라 이적(李勣)의 군대를 기다렸다. 두 달 후 이적이 평양성 북쪽 200리에 도착해 대나마 강심(江深)을 시켜 문무왕에게 군사 동원 기일을 독촉하자, 문무왕이 현재 황해도 수안인 장새(獐塞)에 도착했을 때 이적(영공)이 돌아갔다는 말을 듣고 문무왕의 군사도 돌아왔다. 이적이 왜 돌아갔는지는 알 수가 없다. 당나라에서는 고구려를 정벌하기 위해 668612일 유인궤가 황제의 칙지를 받들고, 숙위하던 김유신의 장남 김삼광과 함께 현재 경기 화성군 남양면 지역인 당항진에 도착했다. 나당연합군이 921일 평양성을 에워싸자, 고구려 보장왕은 찬란한 역사를 뒤로하고 항복했다.

     

    문무왕은 외모가 뛰어났으며 총명하여 지략이 많았다고 한다. 그는 재위 기간 중 큰 업적이 있고 난 후

     

    에는 군사들에게 음주의 시간을 준 것으로 보아 신라 때도 군사들에게 음주는 금지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길조라 생각하는 흰 까치, 흰 매를 지방에서 바쳤다니 신라시대부터 희귀 새가 있었다. 부인들에게도 중국식 의복을 입도록 했고, 당나라 음악도 배우게 한 것은 선진 문화를 받아들이고 있었다. 사람들이 마음대로 재물과 토지를 절에 시주하는 것을 금했다. 이 조치는 사원 등의 지나친 토지 모음을 제한하고, 귀족들의 사유재산이나 토지에 대한 국가권력의 통제력을 강화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또한 669221일 새벽 이전까지 죄를 범하여 감옥에 갇혀 있는 이들을 죄의 크고 작음에 상관없이 모두 풀어준 것은 사람으로서 올바르게 살 기회를 부여했다. 문무왕은 리더십을 발휘하고 배포가 큰 정치를 실현했다고 본다.

     

    문무왕은 21년간 재위하다가 68171, 56(당시 문무대왕비문)로 세상을 떠나니 시호를 문무(文武)라 했다. 문무왕은 평상시에 지의법사에게 자기가 죽은 후 호국대룡(護國大龍)이 되어 불법을 숭상하고 나라를 수호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또한 임종 10일 후 서역(인도)의 법칙에 따라 불로 태워 장사 지내고 장례 절차를 검약하게 하라고 했다. 그래서 여러 신하가 문무왕의 유언대로 동해 어구의 큰 돌 위에 장사 지냈다. 2001KBS 문무대왕 수중릉 조사 때 대왕암의 십자형 수로와 대왕암 안쪽을 인공적으로 깎아서 다듬은 흔적까지 발견했다. 그러나 부장품은 없었다. 바닷물이 동쪽 수로로 들어와 서쪽 수로로 잘 빠져나가도록 만들었다. 문무왕의 유골을 뿌린 대왕암을 성지로 만들고자 외양을 다듬었다고 한다.

     

    문무대왕은 왕자로 탄생해 태자로 책봉을 받았고, 태자 시절에도 나라를 위해 전쟁터에서 큰 공을 세웠다. 왕이 된 후로도 삼국통일을 완수하기 위해 직접 전장을 누볐다.

     

    멀리서 밀려오는 파도가 조용해지니 수중릉이 더 눈앞으로 다가온다.

    [문무대왕암 수중릉 내부(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저작권자 © 금요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전
다음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