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연안 지형 변화 측면에서는 연안 면적이 전년 대비 1,915㎡ 감소했지만, 체적은 1만 1,96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는 앞으로 해안선 후퇴 예측과 연안 안정성 평가에도 활용될 예정이다.
용역사에서는 “2022년 태풍 ‘힌남노’, 2023년 태풍 ‘카눈’의 영향으로 일시적 침식이 컸던 경주시와 영덕군 지역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연안정비사업의 지속적 추진으로 침식이 점차 완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경상북도는 실태조사를 통해 확보된 과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침식 원인을 정밀 분석하고 지역 특성에 맞춘 맞춤형 방지 대책을 적용한 연안정비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 결과 2015년 80.5%에 달했던 침식 우심지역 비율은 2024년 현재 54.5%까지 감소하는 성과를 거뒀다.
경상북도에서는 2025년 총 14개소에서 사업비 439억원을 투입해 연안정비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이 중 316억원은 국가 직접사업, 123억원은 지자체 시행사업으로 집행되며 주요 사업지로는 포항 영일대 해수욕장, 영덕 백석~고래불, 울진 후포면 금음·봉평2리, 울릉 서구 태하1리 등 침식 우려가 큰 지역이 포함되어 있다.
정상원 경북도 해양수산국장은 “이번 실태조사 결과는 연안 침식에 대한 선제 대응뿐 아니라, 앞으로 ‘관리해안선’ 제도 도입에 따른 기초자료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기존의 콘크리트 중심 대응을 넘어서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연안 관리 체계를 마련해 도민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건강한 해안 공간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