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주시독립운동기념관’ 건립 본격화… 2029년 3월 개관 목표

    조성환·엄항섭·김용식 등 여주 출신 독립운동가 조명, 항일유물 150여점 전시… 독립운동의 역사 되살린다

    by 이승섭 연합취재본부
    2025-07-06 09:52:53

     

    [조성환(왼쪽) 선생과 엄항섭 선생. 조성환 선생은 임시정부와 광복군에서 활동해 대통령장(1962)을,
    엄항섭 선생은 임시정부 외교활동으로 독립장(1989)을 받았다.] / 여주시 제공

    여주시가 민선 8기 이충우 시장의 핵심 공약사업인 ‘여주시독립운동기념관 건립사업‘을 본격 착수했다. 조성환·엄항섭 등 여주 출신 독립운동가들의 업적을 기리고 지역 독립운동사를 체계적으로 전시·교육하기 위한 시설로, 2029년 3월 개관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4일 여주시에 따르면 능현동 257번지 일원 명성황후기념관 인접 부지에 부지면적 3,000㎡, 건축 연면적 2,000㎡ 규모의 독립운동기념관을 건립한다고 밝혔다. 총사업비 81억9천600만원이 투입되며, 경기도로부터 40% 한도 내에서 도비 지원을 받을 예정이다.

    기념관 건립은 여주 출신의 대표적인 독립운동가인 조성환·엄항섭 선생과 한말 의병장 이인영 선생 등 여주 독립운동의 역사를 기리기 위한 것이다. 특히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핵심 인물인 조성환 선생(1875~1948)은 여주 대신면 보통리에서 자라 한국광복군 창설을 주도했으며, 엄항섭 선생(1898~1962)은 여주 금사면 주록리 출신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평생을 헌신해 각각 대통령장과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여주시는 2024년 2월 건립 기본방향을 수립한 이후 같은 해 8월 타당성 연구용역에 착수했다. 올해 1월 건립 타당성 및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완료했으며, 2월에는 건립 추진 부서를 복지행정과에서 문화예술과로 변경했다. 4월에는 건립 전담 학예연구사를 채용하는 등 추진체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지난 3일 건립자문위원회를 개최하고 공립박물관 설립을 위한 문화체육관광부 설립 협의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어 2026년 경기도 사전평가와 지방재정투자심사를 거쳐 2027년 설계용역, 2027년 10월부터 본격 공사에 착수한다.

     

    기념관은 상설전시실, 기획전시실, 추모실과 함께 체험·교육실, 수장고, 자료실 등으로 구성된다. 여주시는 명성황후 생가 유적지 내 위치한다는 점을 활용해 을미사변 이후 의병 활동부터 3·1운동, 임시정부로 이어지는 독립운동의 맥을 잇는 여주지역 독립운동사를 한곳에서 볼 수 있도록 특성화할 방침이다.

    여주시박물관 관계자는 “여주 출신 독립운동가는 총 44인에 이르며, 이들의 활동 분야도 다양하다”고 설명했다. 조성환 선생은 임시정부와 광복군에서 활동해 대통령장(1962)을, 엄항섭 선생은 임시정부 외교 활동으로 독립장(1989)을 받았다. 이인영 선생은 의병장이자 창의대진소 총대장으로 대통령장(1962)을, 김용식 선생은 신륵사 승려로 3·1운동을 주도해 애족장(1990)을 각각 추서받았다.

    건립자문위원회는 “여주시에 독립운동기념관이 건립되는 것은 필요하다”며 모든 위원이 동의를 표했다. 다만 “부지 설정 근거, 통계내용, 전시기획 등에 대한 설립협의 평가위원들을 설득할 만한 구체적인 보완사항이 필요하다”며 “여주시 독립운동의 특징을 잘 보여줄 수 있는 내용을 강조해 기획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여주시독립운동기념관 건립은 여주 출신 독립운동가들의 업적을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전승하는 중요한 문화시설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금요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전
다음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