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리구제기관 협력 강화 인권 보장 사례 공유
[금요저널] 충남도 인권센터는 28일 국립예산치유의숲에서 충남노동권익센터와 도민 인권 보장 사례를 공유하는 ‘2025 인권침해·차별 상담사례 공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공유회는 도 인권센터와 인권 분야 권리구제기관 6곳, 대학 인권센터 7곳의 상담·조사 업무 담당자 등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도민 인권 보장 사례 발표에 이어 상담 조사 실무자의 자기 소진 예방 프로그램 순으로 진행했다.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장인선 도 인권센터 인권보호관은 도의 지원의 받는 시설에서 발생한 인권침해 사건을 도내 권리구제 기관과의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시정 권고까지 이끌어낸 사례를 발표했다.
장 인권보호관은 “도민이 여러 분야의 인권을 중첩적으로 침해받는 상황에서 기관 간 협업을 통해 종합적이고 실효성 있는 권리구제를 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최보화 충남노동권익센터 권익지원팀장은 사업장 변경이 되지 않아 미등록 이주노동자가 될 수 있었던 이주노동자의 권리를 구제한 사례를 발표했다.
하루에 20시간씩 일하는 이주노동자의 열악한 근로 환경, 언어 장벽으로 인한 법률 구제의 어려움, 우리 사회에 만연한 인종차별적 시선을 종합적으로 발표한 최 팀장은 “이주노동자의 권리를 구제하는 과정에서 이주민기관과의 통역 상담 등 협력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임계숙 충남장애인권익옹호기관 대리는 장애아동의 인권 및 학습권 침해 사례를 공유했다.
임 대리는 “장애 특성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권침해가 발생했음에도 사건 발생 이후 장애에 대한 부정적인 분위기가 조성됐다”며 “이로 인해 2차 피해 및 장애아동의 학습권 침해까지 이어져 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통합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영미 건양대학교 인권센터 연구전문교수는 인권침해로 신고된 대표적 사례를 소개했다.
최 교수는 “최근 비대면 상담 및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상담 및 사건 신청이 증가하고 있다”며 “외부 전문기관과의 협력으로 피해자 보호 및 회복 지원 등을 연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례 공유에 이어 참석자들은 ‘감정노동자 소진 방지 프로그램’을 통해 오감힐링 숲 산책, 싱잉볼 명상 체험을 하는 등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마음 건강을 회복하는 시간을 가졌다.
윤담 도 인권센터장은 “다양한 분야에 있지만 우리는 모두 도민의 인권을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한 업무를 하고 있다”며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도민의 권리를 보장하는 의미있는 사례가 앞으로 더 많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금요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