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란과 연꽃 풍경을 한지가 아닌 백자도판에서 전통적 한국화의 새로운 시도를 작품으로 구현하는 김은경 작가는 오는 2025년 5월 28일(수) ~ 6월 2일(월)까지 서울 인사동 더스타갤러리에서 "행복의 노래展" 타이틀로 개인전을 진행 한다. 이번 전시는 민화의 화조도처럼 꽃과 새의 절묘한 조화로 따뜻한 감성을 불러일으키고, 그림 속 새들의 모습은 조선시대에 왕이 쓰던 면류관, 익선관 또는 갓, 족두리를 쓰게 하여 의인화된 모습이 재미있고 친근감이 들게 하였다.
작품 속 아주 작고 귀여운 흰머리 오목눈이 새는 지혜와 관찰력이 뛰어난 새다. 매우 특이한 육아를 하는 새로 알려져 있는데, 부부뿐만 아니라 수컷(아빠, 형)들이 함께 먹이를 주며 육아에 동참 한다. 이렇게 서로 더불어 협력하는 오목눈이들에게 패션처럼 다양한 조선 시대의 전통 모자를 씌워 개성적인 다양한 모습과 그들만의 패션을 자랑 한다.
흰머리 오목눈이 새는 한국의 대표적인 새 중 하나로 자연의 아름다움을 상징하기도 한다. 또한 조선시대의 모자를 쓴 이 새는 과거와 현재, 전통과 현대, 자연과 문화 사이의 조화를 이야기 한다. 한국의 고유한 문화와 전통을 현대 예술로 재해석한 것으로 전통모자는 신분을 나타내지만 그 보다 각기 다양한 개성을 주기위해 우리나라 전통모자로 재해석했다.
백자도판에 도자 안료로 이미지를 만들고 다시 유약을 바른 후 1250°C 이상 고온의 가마에서 10시간이 넘는 소성과정을 견뎌내야 작품이 완성된다. 회화적인 예술성과 도자기를 만드는 기술의 복합적 요소가 어긋나지 않고 일치해야 비소로 의도된 작품이 탄생할 수 있을 정도로 어려운 단계들을 무사히 마치는 시간들은 마음을 비우고 끈기 있게 참고 기다리는 수행자의 마음과 같다.
'행복의 노래展'을 실시하는 김은경 작가는 "꽃과 새, 새와 모자의 조화로운 모습은 현대의 다양한 사람들이 서로 어우러져 살아가는 우리들의 표현으로 인간적인 교류에서 찾아오는 행복의 연대감에 대해 중요함을 깨닫게 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작가는 세종대 융합예술대학원 도자회화학과 석사 출신으로 현재 (사)한국미술협회, 세종대 도자회화 연구회, 청색회 회원으로 활발한 창작 작업을 하고 있으며, 경기도 가평에서 갤러리공간 대표로서 작가 전시 지원활동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