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양시, 항생제가 듣지 않는 무서운 감염병, CRE 내성균은 ‘전파’된다
[금요저널] 고양특례시 일산서구보건소는 항생제가 듣지 않아 치료가 어려운 감염병인‘CRE 감염증’의 지역사회 내 확산을 방지하고 시민들의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나섰다.
CRE 감염증은 장내세균 가운데 ‘카바페넴’ 이라는 최후의 항생제에도 내성을 가진 균에 의한 감염증으로 치료가 거의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 면역저하자, 고령자, 장기간 입원환자 등에게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특히 병원 내 전파가 용이하고 감염 시 치료가 매우 어렵고 사망률도 높은 것이 특징이다.
실제로 국내 감염병 사망률 중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 전국에 CRE 감염증으로 신고된 건수는 45,347건, CRE 감염에 의한 사망자 수()는 838명으로 2021년 277명,2022년 539명, 2023년 663명으로 연평균 20~30% 수준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CRE 감염은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전파의 문제이다.
내성균은 사람 간 직접 접촉 뿐만 아니라, 의료기관 내 전파, 덜 익힌 음식, 항생제 포함 폐수 등 환경을 통해 퍼질 수 있다.
실제로 질병관리청 조사에 따르면, 국민의 90% 정도가 항생제 내성을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음에도, 실제 전파경로나 항생제 오남용의 위험성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는 비율은 2~4명 중 1명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CRE감염증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부족한 상황에서 지역사회 차원의 예방활동이 중요하다.
이에 시민들의 인식 개선과 고위험군 보호를 위해서는 △항생제는 꼭 필요할 때만 복용하기 △손 씻기와 위생 수칙 준수하기 △입원 환자 및 간병인은 감염병 예방 행동 실천하기 등의 감염예방 수칙 준수가 필수적이다.
보건소 관계자는 “CRE 감염증은 전파 위험이 높고 치료가 어려운 고위험 감염병”이라며 “요양병원 등 집단시설을 중심으로 감염관리 강화가 이루어지도록 관련 지침 및 항생제 오남용 방지를 위한 홍보활동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금요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