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산식품 산업의 특화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스마트농업, 먹거리정책, 농산물유통 기능을 강화하면서 전반적으로 농업 부문의 고부가가치화를 도모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최근 반려동물의 중요성과 관리에 대한 사회적 이슈를 감안해 동물방역과에 ‘동물복지팀’을 신설, 사람과 반려동물이 함께 행복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정책 수립 및 실행에 나선다.
현재 정무부지사 소관인 공보관을 도지사 직속 대변인으로 역할과 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도정의 정책 기조와 입장 등을 정확하게 알리는 소통 창구로 활용할 방침이다.
도지사 직속의 소통혁신정책관은 4급 부서로 기능을 조정, 소통청렴담당관으로 재편하면서 직소 민원 등에 대한 현장 대응력을 높여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코로나19 등 감염병 대비 역할·기능 강화가 요구되고 있는 보건환경연구원에 보건환경연구부를 신설한다.
서울본부는 중앙협력본부로 명칭을 변경하고 정부 부처와 국회, 국책기관 및 기업 등과의 대외협력 기능을 강화한다.
행정체제개편위원회에서 도민 공론화 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한 행정 지원이 필요함에 따라 이를 맡을 ‘행정체제개편지원팀’을 신설해 운영한다.
제주시는 인구 50만명에 걸맞은 행정 수요를 고려해 경제일자리국과 일자리에너지과, 장애인복지과를 확대 신설한다.
특히 취약계층인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촘촘복지 실현을 위해 ‘노인복지과’와 ‘장애인복지과’를 분리해 전문성을 높일 계획이라고 전했다.
서귀포시는 공립미술관이 신설됨에 따라 ‘이중섭미술관’ 시설 확충에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이번 조직개편안이 반영된 ‘제주특별자치도 행정기구 설치 및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제주특별자치도 사무위임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은 오는 12월 5일까지 입법예고 기간에 의견을 수렴한 후 도의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제주특별자치도는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 여건과 새해부터 본격 추진할 민선 8기 도정의 핵심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행정조직의 패러다임 전환에 초점을 맞췄다”며 “정부의 정원 동결 기조라는 어려움 속에서도 도민들의 눈높이에 맞춘 민생 안정과 경제 활력, 복지 안전망 확충, 균형 성장, 미래 혁신 등에 중점을 둬 행정조직을 개편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