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경기도 자동차전문정비사업조합 광주시지회, 시민 교통안전 위해 600여 대 점검

경기도 자동차전문정비사업조합 광주시지회 시민 교통안전 위해 600여 대 점검 [금요저널] 경기도 자동차전문정비사업조합 광주시지회(지회장 박준규)는 지난달 26일 광주시민체육관 임시주차장에서 ‘2025년 동절기 대비 차량 무상점검 서비스’를 실시했다.이번 행사는 박준규 지회장을 비롯한 100여명의 회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광주시민의 교통안전을 위해 마련됐다.이날 점검에서는 광주시민 차량 600여 대를 대상으로 타이어 상태, 엔진, 등화장치 등 기본 안전 항목을 비롯해 각종 오일류 보충, 와이퍼 교체, 실내 살균소독 및 에어컨 항균필터 교환 등의 서비스를 무상으로 제공했다.이번 차량 무상점검은 2009년부터 매년 추진되고 있으며 2019년부터는 자동차 안전점검 및 정비를 통한 교통사고 예방과 올바른 정비문화 확산을 위한 광주시 교통안전 시책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다.행사장을 찾은 방세환 시장은 “이번 무상점검을 통해 시민들이 차량의 이상을 미리 발견하고 겨울철 갑작스러운 고장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됐길 바란다”며 “시는 앞으로도 시민의 안전과 편의를 최우선으로 하는 교통환경 조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광주시, ‘제3회 곤지암 소머리국밥 거리 축제’ 성료

광주시 제3회 곤지암 소머리국밥 거리 축제 성료 [금요저널] 광주시 곤지암읍은 지난 2일 곤지암역 일원에서 열린 ‘제3회 곤지암 소머리국밥 거리 축제’가 시민과 관광객의 뜨거운 호응 속에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국밥에 빠지다’를 주제로 열린 이번 축제는 곤지암을 대표하는 향토 음식인 소머리국밥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지역상권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이날 행사에는 방세환 시장을 비롯해 국회의원, 도·시의원, 각급 기관·사회단체장 등이 참석했으며 6천여명의 시민과 관광객이 행사장을 찾으며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었다.행사장 곳곳의 소머리국밥 판매 부스마다 긴 줄이 이어졌고 준비한 음식이 조기 매진되는 등 곤지암 명물 소머리국밥의 인기를 실감케 했다.또한, 소머리국밥 홍보관과 포토존, 페이스페인팅 등 체험 부스, 지역 농·특산물 판매 부스, 먹거리장터가 운영되며 주민과 상인들의 참여 열기를 더했다.지역예술단과 주민동아리, 초대 가수들의 다채로운 공연도 펼쳐져 축제의 흥을 한층 끌어올렸다.김주수 곤지암읍장은 “곤지암 소머리국밥 거리 축제는 지역의 전통과 자부심을 이어가는 대표 축제이자, 주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화합의 장”이라며 “앞으로도 곤지암 소머리국밥 거리 축제가 광주시를 대표하는 명품 축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시, ‘순국선열의 달’ 맞아 나라사랑 보훈문화 행사 개최

광주시 순국선열의 달 맞아 나라사랑 보훈문화 행사 개최 [금요저널] 광주시는 순국선열의 달을 맞아 지난 1일 호국보훈공원에서 ‘나라사랑 보훈문화 행사’를 개최했다.이번 행사는 순국선열의 숭고한 희생과 공헌을 기리고 시민 모두가 나라사랑의 의미를 되새기기 위해 마련됐다.이날 행사에는 방세환 시장을 비롯해 소병훈·안태준 국회의원, 허경행 시의회 의장, 도·시의원, 9개 보훈단체장과 보훈가족, 기관·사회단체장, 군인, 공무원, 시민 및 청소년 등 300여명이 참석해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정신을 추모했다.기념식에 앞서 5708부대가 장기 무상임대한 M48 패튼 전차 제막식이 현충탑 경내에서 열렸다.이번 제막은 ‘우리의 평화는 누군가의 희생 위에 세워졌다’는 사실을 되새기게 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담았다.기념식은 국민의례와 순국선열 및 호국영령에 대한 묵념으로 시작해 방세환 시장의 기념사, 국회의원 및 시의회 의장, 광주시보훈단체협의회장, 55사단장의 축사, 기념 공연 순으로 진행됐다.또한, ‘나라사랑 보훈문화’를 주제로 한 미술대회에는 많은 학생들이 참여해 행사의 의미를 더했으며 현장에서는 나라사랑 전시회(호국보훈 역사 및 독립운동가 사진전, 군 장비 전시), 홍보 및 체험부스 운영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함께 진행돼 시민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방 시장은 “오늘의 대한민국은 순국선열들의 숭고한 희생 위에 세워진 결과”며, “광주시는 선열들의 나라사랑 정신을 시민과 함께 계승하고 보훈문화가 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More News

이전
다음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