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6℃
7℃
5℃
8℃
6℃
5℃
7℃
7℃
8℃
0℃
8℃
8℃
6℃
8℃
7℃
4℃
3℃
8℃
6℃
7℃
12℃
7℃
7℃
6℃
6℃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구리시의 ‘서울특별시 편입’이 재부상했다. 구리시가 구리시의회에 관련된 의견청취를 요청했는데 집행부와 시의회 야당간 열띤 공방전이 펼쳐졌다.
20일 구리시의회 2차 정례회에 ‘경기도와 서울특별시 간 관할구역 변경(안) 시의회 의견청취안’이 상정됐다.
변경안에 대해 김완겸 시행정지원국장은 “폐지되는 지역은 경기도 구리시, 설치되는 지역은 서울특별시 구리구”라면서 “시의회 의견 청취 후 2026년 상반기에 서울시와 경기도로 실태조사서와 구리시의회 의견서를 첨부해 관할 구역변경 건의서를 제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은 찬성의견을 적극적으로 개진한데 비해 민주당 소속 의원들은 시 정책의 실익이 없음을 비판하며 에둘러 반대의사를 전했다.
민주당 정은철 운영위원장은 의회 의견청취가 행정구역개편을 위한 법적 절차임을 강조하며 “구리시가 서울편입을 위한 공식 절차에 돌입한 것으로 보고 경기도가 GH 구리 이전을 취소하고 이전 대상지를 다시 찾으면 누가 책임을 질 것인가”라고 따져물었다.
반면 국민의힘 김용현 의원은 GH 구리 이전은 서울편입의 장애물이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경기도는 구리시에 의견도 묻지 않고 GH 이전 대상지에서 구리시를 배제하는 기자회견을 했다. 구리시는 경기도 정책에서 지속적으로 소외되고 있다”면서 “김동연 지사가 경기북부특별자치도를 철회하지 않는 이상 GH는 어차피 구리시로 오지 못한다”고 반격했다. 김 시행정지원국장도 “경기도가 구리시를 지원하는 데 소홀한 부분이 있다는 데는 공감이 된다”고도 호응했다.
민주당 권봉수 의원은 경기도·서울시에 변경안을 제출하고 나면 이후 결과는 시의 권한 밖임을 강조했다. 권 의원은 “지방자치법의 총 8단계 절차 중 우리는 지금 2단계를 하고 있다. 경기도와 서울시로 변경안을 제출하고 나면 시민들은 이제 경기도, 서울시, 행정안전부, 국회에 하소연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이경희 의원은 “그 과정이 지루하고 길고 가능성이 없다고 해서 시도도 안해볼 수는 없다”고 맞섰다.
엄진섭 부시장은 의회 의견 청취 후 정책결정자인 백경현 시장이 경기도와 서울시에 변경안을 제출할지를 판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방청석에는 전날 시청 대강당에서 구리시서울편입 시민설명회를 열었던 ‘구리가서울되는범시민추진위원회’ 소속 21명이 자리해 해당 안건에 대한 관심을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