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에는 김성연 전 부산비엔날레 집행위원장을 예술감독으로, 지난 9월에는 고효열 전 도의회 사무처장을 사무총장으로 각각 선임했다.
추진 체계 재정비를 마친 조직위는 전시 기본계획도 마련, 첫 행사의 골격을 내놨다.
기본 방향으로는 △섬과 바다의 가치 발굴, 예술과 축제를 통한 가치 공유와 확산 △지역과 예술의 결합으로 새로운 문화적 자산 창출과 향유 △섬이 가진 공간적 특성과 지역성, 자원의 다각적 활용 방안 모색 △섬의 자연 환경과 보전 가치적 의미 부각, 미래지향적 의미 도출 등을 제시했다.
전시는 △섬의 생태와 문화를 담아내는 전시 △섬의 지리, 건축, 문화를 반영한 비엔날레 △비전을 공유하는 국제 예술 교류 플랫폼 등으로 방향을 설정했다.
참가 예정 작가는 24개국 70여 명이다.
섬비엔날레 주전시장은 오는 21일 첫 삽을 뜨는 섬문화예술플랫폼으로, 전시 주제를 잘 나타내는 국내외 유명 초청 작가의 작품을 전시한다.
원산도에 건립하는 섬비엔날레 핵심 인프라인 섬문화예술플랫폼은 9886㎡의 부지에 연면적은 3989㎡로, 300억 원을 투입해 개막과 함께 문을 연다.
주전시장 일대와 해안도로 등에는 조각과 설치작품 등을 전시, 자연 속에서 예술을 만날 수 있도록 한다.
원산도 선촌항과 점촌마을 일대 빈집과 창고, 카페 등을 활용, ‘장소 특정적 작품’도 선보인다.
섬비엔날레에서는 이와 함께 사운드·퍼포먼스 아트 등 전시, 세미나 및 작가와의 대화 등 전시 연계 프로그램, 아트 투어·아트 캠핑 등 부대행사도 마련한다.
고대도 일원 항구와 해안도로에서는 지역적 특성을 활용한 조각 및 설치작품을 전시한다.
김태흠 지사는 “섬비엔날레의 큰 그림을 그려 2027년 첫 회에는 그 중 20~30%를 완성하고 순차적으로 지속 가능한 예술 행사를 만들어 갈 것”이라며 “이를 통해 대한민국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발전시켜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김동일 시장은 “각 비엔날레 개최 시기에 맞춰 글로벌 작품 2∼3개를 새롭게 설치해 세계인이 찾는 섬을 만들어 갈 것”이라며 “비엔날레를 계기로 해양관광을 한 단계 더 발전시켜 세계 속의 힐링도시 보령을 실현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