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4명 중 1명 입사 포기 안계일 의원 푸른미래관 운영 실태 전면 개선 촉구 (경기도의회 제공)
[금요저널] 경기도의회 안전행정위원회 안계일 의원은 17일 열린 2025년 행정사무감사에서 경기도가 운영하는 청년 기숙사 ‘푸른미래관’의 입사 포기율이 24%에 달한다며 “학생 수요와 생활 여건을 반영하지 못한 운영 실태를 전면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푸른미래관은 도내 대학생에게 월 17만원의 저렴한 이용료로 기숙사형 주거 공간을 제공하는 경기도의 대표 청년 주거지원시설이다.
그러나 안 의원이 경기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정기 선발된 134명 중 33명이 입사를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 50명 중 15명, 여학생 84명 중 18명이 포기해 전체의 24.6%가 입사를 취소한 셈이다.
입사 포기 사유를 살펴보면 △시군 장학관·타 기숙사 선택 23명 △자취·통학 선택 4명 △기타 6명으로 타 기숙사나 장학관을 선택한 사례가 70% 가까이 차지했다.
이에 대해 안 의원은 “푸른미래관은 저렴한 공공기숙사임에도 학생 4명 중 1명이 입사를 포기하고 있다”며 “이는 단순한 개인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정책 설계와 운영 전반에 매력도가 부족하다는 신호”고 지적했다.
또한 “타 기숙사 선택 비율이 70%에 달한다는 것은 입지 여건, 통학 편의성, 생활 만족도 등에서 푸른미래관이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라며 “운영 방식, 시설 수준, 입사 기준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해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안 의원은 “월 17만원의 저렴한 이용료임에도 불구하고 ‘이용료 부담’을 포기 사유로 꼽은 학생이 있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생활비와 교통비 등 추가 비용이 적지 않다는 의미”며 “입사 비용 외 생활 부담까지 고려한 지원체계로 보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안 의원은 “푸른미래관은 청년 주거 복지를 실현하기 위한 공공정책 시설로서 단순한 숙소 제공이 아니라 학생들이 안정적으로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생활 기반이 되어야 한다”며 “경기도는 입사 포기 원인을 면밀히 분석하고 학생 눈높이에 맞는 기숙사 운영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