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시도서관 AI 도서관서비스 플랫폼 구축 첫발 내디뎠다
[금요저널] 수원시도서관이 공공도서관 표준자료관리시스템을 13일부터 공공부문 민간 클라우드인 SaaS로 전환하면서 AI 도서관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한 첫발을 내디뎠다.
전국 공공도서관 최초로 클라이언트-서버†普 기반의 운영 환경을 클라우드 서비스로 전환했다.
수원시 공공도서관 20개 소, 공공도서관 내 도서관 4개소, 사립도서관 1개소 등 25개소에 도입했다.
湯慴클라이언트-서버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가 응답을 제공하는 구조SaaS는 클라우드 컴퓨팅†普 서비스의 핵심 모델 중 하나로. 사용자가 원격으로 접속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인터넷으로 소프트웨어 앱에 접근한다.
湯慴클라우드 컴퓨팅 : 인터넷으로 서버·스토리지·데이터베이스·네트워크·소프트웨어 등 IT 자원을 빌려쓰는 서비스다.
수원시도서관은 SaaS를 기반으로 도서 관리 운영을 위한 케이닷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하고 이용자 서비스 연계를 위한 홈페이지 기본형 모듈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 생성형 AI를 활용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수원시도서관은 과기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주관하는 ‘2025년도 디지털서비스 이용·확산 지원사업’에 선정돼 SaaS를 도입했다.
총사업비 1억 400만원을 지원받았다.
수원시도서관 관계자는 “2026년 기술지원이 종료될 예정인 표준자료관리시스템을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클라우드 컴퓨팅 운영 환경 기반으로 전환했다”며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도서관 이용자에게 더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금요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