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도훈 의원 도민 문화향유 격차 해소 예산 인프라 대전환 촉구 (경기도의회 제공)
[금요저널]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도훈 의원은 11월 7일 열린 문화체육관광국 행정사무감사에서 도민의 문화향유 격차와 경기문화재단의 구조적 한계하고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을 강력히 요구했다.
김도훈 의원은 ‘경기도민 문화예술 향유 실태조사’를 인용해 “도민 10명 중 4명이 문화예술을 즐기기 위해 서울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조사에서 ‘다양한 프로그램 부족’과 ‘편의시설 미흡’이 주요 이유로 꼽혔다.
또한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층’은 54%에 달하지만 실제 참여율은 36.1%에 불과했다.
김 의원은 “이는 단순한 선호 문제가 아니라, 도내 문화공간과 프로그램 부족이라는 구조적 문제를 보여준다”며 문체국의 대응을 질타했다.
이어 “경기도의 문화체육관광 예산 비율이 타 시·도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라며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문화예산 확충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의원은 경기문화재단의 예산 구조 편중 문제를 언급했다.
김 의원은 재단 예산 중 도 위탁사업 비중이 2025년 기준 60%에 달해 자율사업이 위축됐다고 밝혔다.
2024년 기준 도 하달 위탁사업은 46건, 1,020억원으로 2000년 대비 약 20배 증가했다.
김 의원은 “문화정책 집행이 창의적 개발이 아닌 하달사업 수행 중심으로 변질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재단의 자율성과 본사업 회복을 위한 재정·운영 구조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문화시설 및 콘텐츠 경쟁력 저하 문제도 지적했다.
김 의원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박물관의 2025년 예산은 43억8천만원으로 서울역사박물관의 5분의 1 수준이며 경기도미술관의 예산 역시 39억원으로 서울, 부산, 울산, 전남, 제주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김도훈 의원은 “이러한 예산 격차는 도내 문화시설의 경쟁력 저하로 직결된다”며 “문체국이 공공기관과 협력해 기업 메세나 유치 및 국가 공모사업 참여 등 재원 다각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마무리 발언에서 김 의원은 “도민의 문화향유 욕구는 전국 최고 수준이지만 이를 뒷받침할 인프라와 예산은 최하위권”이라며 “이제는 예산과 정책의 우선순위를 조정해야 할 때”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금요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